|
기후 변화 위험·기회 요인 |
영향도 |
기후변화 위험의 재무적 영향 |
기후변화 기회의 재무적 영향 |
대응 전략 |
|
단기 |
중기 |
장기 |
|
전환적 위험 · 기회 |
정책/규제 |
* 기후변화 및 환경 관련 정보공시 * 국가 온실가스 배출 감축 목표 |
M |
M |
M |
* 공시의무 강화로 인한 정보공시 비용 증가 * 배출권 구매 비용 발생 |
* 투명한 공시로 자금조달 비용 감소 * 친환경 정책 및 정부 지원사업 확대로 설비투자 비용 절감 |
* ESG 전담 부서를 통한 ESG 정보 공시평가 대응 * 정부 정책 변화와 기술 발전 수준을 고려한 단계적 투자 진행 |
|
기술 |
* 친환경 제품 및 기술 개발 경쟁 * 고효율 저배출 설비확충 |
M |
M |
H |
* 제품 및 기술 연구개발 비용 증가 * 개발경쟁도태 시 연구개발투자 손실 및 매출 저하 |
* 신제품 출시에 따른 매출 증가 * 친환경적 제조공정 혁신으로 제조원가 절감 |
* 신선식품용 골판지원지 개발 및 특허 출원 완료 * 원가경쟁력 강화와 연계한 사업장 내 에너지 절감 사업 진행 * 스마트 생태공장 사업 참여로 노후설비 및 저효율 설비 교체 실시 |
|
시장 |
* 주요 수입국 펄프 수출 규제변화 * 친환경 제품으로 고객선호도 변화 |
L |
M |
H |
* 원재료 구매비용 증가 * 고객니즈 미충족 시 매출 저하 |
* 친환경 수요 대응에 따른 매출 증가 |
* 원자재 공급선 다변화(공정에 적합한 펄프 브랜드 수입) * FSC 인증 갱신 및 신선식품용 원지 영업활동 강화 |
|
평판 |
* 투자자 등 이해관계자의 기후변화 대응 요구 |
L |
M |
M |
* 대응 부족 시 주가하락 및 투자 철회 * 고객 이탈 |
* 우수한 평판으로 인한 자금조달 비용 감소, 매출 상승 |
*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및 감축방안 수행 |
|
물리적 위험 · 기회 |
|
급성 |
* 태풍, 홍수, 가뭄 등 갑작스런 자연재해 |
M |
M |
H |
* 시설/설비 손상 복구 비용 발생 * 소유 부동산의 담보가치 하락 * 공장가동 및 원자재 공급 중단, 완제품 소실로 인한 생산차질 |
* 적절한 재해 등이 및 복구 후 기업신뢰도 및 평판 상승 |
* 농산물 기반 부자재(옥수수 전분 외) 재고 비축 및 공급선 다양화 |
|
만성 |
* 해수면 상승, 기온 상승, 황사 등 날씨 패턴의 변화 |
L |
M |
H |
* 공장, 물류창고 등 운영 및 관리비용 증가 |
* 새로운 기후패턴에 대응 가능한 신규 제품 및 서비스 |
*기간범위: '단기' 1년 이내, '중기' 1년 초과, '장기' 5년 초과 / 영향도 수준: 'L' 낮음 'M' 보통 'H' 높음